Relationships: The Avoidant Style
by J. Alan Graham
https://www.atlantacenterforcoupletherapy.com/relationships-the-avoidant-style
특정 애착유형을 가진 사람(e.g., anxious individual/person)을 가리키는 말을 해당 애착유형의 명칭으로 번역(예: 불안형)
서문
필자는 〈관계치료와 애착유형: 기초〉라는 글에서 4가지 애착유형(안정형, 불안형, 회피형, 공포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며, 커플이 휘말리는 패턴과 이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한 바 있다. 불안형 애착유형(anxious), 회피형 애착유형(avoidant), 공포형 애착유형(fearful-avoidant)은 모두 불안정 애착유형이나, 이를 드러내는 방식은 각각 다르다. 이 글은 회피형(avoidant individual)이 가지는 경향을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할 것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담고 있다. 또한 이 글은 당신의 회피형 애착유형이 데이트나 관계에서의 성공을 저해하려 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한 간략한 가이드이기도 하다. 글을 읽는 동안 기억해야 할 두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유형에 완전히 들어맞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우리 대부분은 (감사하게도) 여러 유형의 면모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이는 문제를 해결하는 빈틈으로 작용하기 마련이다. 둘째, 당신이 안정형 애착유형이 아니라면, 아마 기초적인 불안정 애착유형(회피형 또는 불안형) 하나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당신이 만나는 사람의 애착유형에 대한 반응으로 다른 애착유형이 겉으로 드러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피형은 자기 자신이 뭔가에 사로잡혀 있거나 집착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될 수 있는데, 이때 그가 만나고 있는 사람이 더 회피적이고 더 거리를 두는 극강의 회피형이라면, 그는 마치 불안형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우리가 데이트를 하려면 누군가 이 간극을 좁혀줘야 해!”) 두 유형 모두 불안정 애착유형이며, 친밀감(closeness)과 연결(connection)에 대한 각각의 경험에서 비롯되는 불안에 반응적(reactive)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공포형 애착유형에 대한 글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회피형 애착유형의 함정
회피형은 특히 관계에서 느껴지는 새로움(newness)이 옅어질 때 상대가 추구하는 친밀감에 압도당할 수 있다. 또한, 관계가 무르익어감에 따라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증가된 친밀감(increased closeness)이 회피형의 안식처를 자꾸만 침범할 수도 있다. 회피형의 불안정은 이러한 관계가 점점 요구적으로 변해갈 것이며, 이로 인해 그들이 관계 안에서 충분한 ‘빈자리’를 갖게 되지 못할 것이라는 내용에 가깝다. 회피형의 과거력에서, 그들은 자신의 소망, 욕구, 감정 등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고 중요하게 여겨질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지 않아왔다. 따라서, 그들은 종종 상대에게 자신의 소망, 욕구, 감정 등을 표현할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모든 것들을 끓는점에 도달할 때까지, 혹은 ‘빈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거리를 둘 필요가 있다고 느낄 때까지 마음속에 차곡차곡 보관해둔다. 아울러, 회피형은 상대의 관계 욕구(relationship needs)를 충분히 충족시키는 데에 실패해 관계를 망치는 것을 두려워할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회피형은 종종 ‘문을 닫아버림’으로써 상대가 닫힌 문을 ‘더 세게 두드리도록 만드는’ 사람들이다. 한번 이런 일이 생기면, 회피형은 상대의 고조된 반응(escalation)을 과도한 집착 또는 통제할 수 없는 분노로 해석해 그들의 철수(withdrawal)를 정당화하고, 친밀감에 따르는 불안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난 그들의 철수가 이 모든 일의 기원(origin)이라는 점을 완전히 놓쳐버린다. 또한, 회피형은 종종 불안형인 상대(anxious partner)의 고통이 지극히 정상적이며 진짜라는 점을 놓친다. 그들은 중요한 감정적 방식의 연결로부터 늘 한 발짝 떨어져 있어왔기 때문이다. 선행연구는 이러한 역동을 전환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으로 회피형이 문을 열고 관계로 다시 돌아가도록 돕는 것을 제시한다. 어쩌면, 불안형이 마음을 ‘진정시킴’으로써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회피형은 관계 안으로 되돌아가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회피형은 이런저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비활성화 전략(deactivating strategies)을 쓰지만, 종종 혼자서 지낼 때 친밀한 관계를 갈망하기도 한다. 비활성화 전략은 회피형이 혼자 지내는 것이 관계 안에 속하는 것만큼 좋거나 그보다 더 낫다는 것을 자기 자신에게 확신시키는 정신적 과정이다. 여기에는 싱글로 지내는 것의 이점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다. (예: 고려해야 할 일정이 하나뿐임, 다른 사람의 요구를 다룰 필요가 없음, 다른 상대를 만날 수 있어 잠재적으로 보다 나은 사람을 만날 가능성이 있음 등) 또한, 회피형은 이상적인 연인(ideal lover)을 학수고대하며, 이전의 모든 잠재적 상대가 어떻게 그 이상에 미치지 못하는지 검토하고, 불가능하리만치 높은 기준으로 싱글인 그들의 상태를 합리화한다. 비활성화 전략은 회피형이 관계에 속해 있을 때도 사용된다. 회피형은 그들을 관계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들을 우선시하며, 심적으로 관계의 중요성을 묵살(dismiss)한다. 회피형은 상대의 결점과 그 관계가 이상적이라고 느껴지지 않게 만드는 모든 것들에 초점을 둔다. 이러한 전략은 회피형이 부정(denial)하고 있는 불안을 관리하는 데에 도움이 되며, 그들의 관계가 갈등과 단절로 이어지게 만든다. 회피형은 뒤섞인 메시지(mixed messages)를 보내고, “사랑해”라는 말을 하지 않으며, 누군가에게 헌신하는 것을 매우 주저한다. 이러한 경향은 로맨틱한 관계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로맨틱하지 않은(non-romantic) 관계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회피형과 불안형이 만나면
다른 글에서 다뤘듯, 데이팅 풀(dating pool, 잠재적 상대의 집합)은 불안형과 회피형에게 불균형적으로 가중되어 있다. 안정형은 데이팅 풀에서 함께 빠져나온다. 불안형이 회피형을 만나면, 불안형의 ‘친밀감에 대한 갈망’이 회피형의 불안을 높일 수 있다. 회피형은 종종 새로운 상대를 더 긍정적으로 보기 위해 새로이 다짐하며 외로움의 시기를 벗어나곤 한다. 회피형은 그들의 결의(will)가 지속되고 잠시간 새로운 기회에 행복해하길 바라며 관계에 대해 또 다른 시도를 하고자 한다. 때때로 관계에서 느껴지는 새로움은 회피형이 자신의 감정, 소망, 욕구를 성공적으로 ‘드러내는’ 데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우리의 애착유형은 꽤 탄력적(resilient)이어서, 그것을 바꾸기 위해서는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가 가진 패턴이 성공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으면 회피형의 철수가 불안형의 집착에 불을 붙이는 것으로, 세간에 잘 알려진 ‘집착하려는 자와 거리를 두려는 자의 춤(dance of pursuer-distancer)’이 시작된다. 이 춤은 관계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만족도와 함께 오랜 시간 지속될 수 있다. 그게 아니면, 이 춤은 더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슬프게도, 반복된 실패감은 양쪽 모두를 분리로 이끌어 관계로부터 멀어지기로 결심하게끔 할 수 있다.
회피형을 위한 팁
스스로를 회피형으로 인식하며, 회피형 행동(avoidant behaviors)이 연결과 관계를 유지하는 데에 방해가 되어 좌절감을 느끼는 당신을 위해, 다른 결과를 얻기 위해 해볼 수 있는 10가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당신이 가진 비활성화 전략을 판별하는 방법을 배워라. 비활성화 전략은 회피형이 그 관계가 그렇게까지 중요하지 않으며, 연결과 친밀감에 대한 욕구가 남들에 비해 적다는 것을 자기 자신에게 확신시키는 정신적 과정이다. 생리학적 측정을 통해 살펴보면, (‘겉보기에는’ 회피형이 더 괜찮아 보일지라도) 회피형과 불안형은 안정형과 달리 서로 유사한 고통을 겪는 것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기억하라. 여기서 제시한 10가지 방법의 목록은 모두 비활성화 전략과 관련된 주제의 변형에 해당한다. 이 목록이 당신이 바꿔야 할 비활성화 전략을 판별하는 것과, 이 글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비활성화 전략을 인식하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상대의 결점에 대한 당신의 정신적 목록이 생각만큼 타당한지 검토하라. 우리 모두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상대의 결점은 어쩌면 당신이 상대를 밀어내기 위해 많은 것을 평가절하한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은 친밀감에 따르는 불안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이라는 점을 기억하라. (상대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불안에 대해 터놓고 이야기하면, 당신은 서로가 보다 가깝고 안전하다고 느끼게 될 것이다. 당신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회피형에게 어렵지만 그만큼 중요하다. 당신은 자기 자신을 관계 안으로 데려다 놓아야 한다. 당신의 철수는 당신과 함께 있는 사람이 그 빈자리를 채우도록 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필자는 최근 회피형 내담자에게 그의 관계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어야만 한다고 계속해서 믿는 것보다, 그의 관계 안에서 존재하고 또 표현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는 그에게 많은 의미가 있었다.
- 당신의 강건한 자기신뢰(self-reliance)를 의심하라. 자기신뢰는 분명 가치 있는 특질이지만, 과도할 경우 오히려 관계를 방해할 수 있다. 도움을 거부하고, 자신의 감정에 대해 많이 이야기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만의 방식으로 보내는 사람을 알고 있는가? 이러한 사람의 친구가 되는 것은 종종 별 보람이 없으며, 때로는 그러한 시도 자체가 매우 좌절스러울 수 있다. 상호 지지와 동료애(camaraderie)의 이점을 고려하라. 누군가가 당신에게 가까이 오려 할 때, 특히 그들이 당신을 도우려 할 때, 당신은 그들에게 관대함에서 비롯된 좋은 기분이라는 선물을 줄 수 있다. 이것은 기브-기브(give-give)이자 윈-윈(win-win)이다.
- 안정형인 상대를 찾아라. 안정형인 상대는 회피형과 불안형이 더 안정적이게 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안정형은 회피형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철수를 견딜 수 있다. 회피형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빈자리’를 안정형이 쉽게 내어줄 수 있을 때, 회피형은 더 이상 빈자리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더 빨리 깨닫게 된다. 반면, 불안형은 그 빈자리를 내어주기 위해 괴로워하거나 기껏해야 양가적(ambivalent)일 것이므로, 더 많은 빈자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끼는 경험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회피형과 불안형에게 좌절스러운 패턴으로 작용한다. 안정형인 상대를 찾는 것은 둘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 안정형인 상대는 특히 서로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공유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관계 안에 현존(being present)하는 것의 모범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당신 또한 관계 안에 현존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 당신에게 상대의 행동을 부정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철수를 정당화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인식하라. 상대가 당신의 마음속 가장 큰 관심사라는 점을 고려하라. 상대는 단지 당신과 가까이 있기를 원할 뿐, 당신을 통제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들 역시 인간이며 당신처럼 결점이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당신이 ‘부정적’이라 여기는 것은 상대 또는 그 관계에 대한 치명적인 결함이 아닐 수 있다. 당신은 그가 가진 결점에도 불구하고 그를 여전히 사랑할 수 있다.
- 관계 감사 목록(relationship gratitude list)을 만들어라. 긍정적인 것에 집중하기 위해 매일 자기 자신을 다독여라. 상대가 사소하게라도 당신의 웰빙에 기여한 방식과 당신의 삶에 있어 상대의 존재가 왜 감사할 만한지 고려하라. 상대에게 당신의 목록에 있는 것을 자주 전하라. 그것은 당신에게 더 진짜에 가까우며, 상대가 듣기에 기쁠 것이다. 또한 우리가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감사를 표할수록, 그것들이 다시 나타날 가능성도 더 높아진다. (이를 긍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라고 하며, 애완동물에게 작용하는 것처럼 사람에게도 똑같이 작용한다)
- 환상 속의 전–애인(ex.)이나 이상적인(idealized) 미래의 연인으로부터 관심을 돌리는 방법을 찾아라. 당신이 지금 당장 그리워하며 다시 만나기를 고대하는 이전 연인에게는, 사귈 당시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것들이 분명 있었을 것이다. 도취적 회상(euphoric recall)은 결코 정확하지 않다. 현재 관계에 대한 불만족은 찾아내서 멈추는 것이 최선인 비활성화 전략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불만족이 관계뿐만 아니라 삶의 다른 영역에 대한 별 뜻 없는 관여(half-hearted engagement)를 정당화하는 수단은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비활성화 전략을 더 많이 쓰다 보면, 인생이 송두리째 바뀌어버릴 수도 있다!
- 당신의 체크리스트를 완벽하게 채워주는 ‘바로 그 상대’를 기다리지 마라. 좋은 상대와 함께하고 있다면, (인정하기 어렵더라도) 그에게 적극적으로 의지하고 당신에게 친밀감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하라. 그리고, ‘바로 그’ 상대는 어디에도 없다는 점을 명심하라! 이는 그야말로 환상에 불과하다. 우리는 모두 ‘.72’, ‘.85’이고, 운이 좋다면 ‘.91’을 찾을 수도 있다. 사랑은 이 모든 것들이 ‘1.0’으로 반올림될 때 생긴다. 상대가 당신을 1.0으로 반올림한다면, 당신 또한 사랑받을 수 있는 것이다.
- 분산 전략(distraction strategies)을 사용하라. 친밀감을 높이기 위한 ‘경사로’ 역할을 하는 일반적인 활동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나란히 앉아 함께 일하거나, 같이 요리를 하거나, 애완동물과 함께 노는 것은 회피형으로 하여금 친밀감도 썩 괜찮다는 것을 기억하도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왜’를 사용해 당신의 요구를 명확하게 전달하라. 나-전달법을 통해 당신의 요구를 분명하게 말하고, 어떤 것들이 상대와의 연결을 더 좋게, 안전하게, 덜 위협적으로 느끼는 데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설명하라. 필자는 상대의 애정을 좋아하지만, 애정을 시작할 때 상대가 너무 공격적이지 않아야 하는 트라우마 생존자 내담자를 만난 적이 있었다. 그녀는 친밀감과 애정의 무수한 선택지들 가운데 어떤 것이 효과적이었고 어떤 것이 효과적이지 않았는지에 대해 분명히 말할 수 있게 되면서, 비활성화 전략을 사용하고 관계로부터 철수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현재 상태를 유지하며 잘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당신이 관계와 관련해 유의하며 지속적인 회피를 나타내고 있고, 또 이를 바꾸고자 한다면, 애착유형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상담사와 이야기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우리가 가진 애착유형은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보는 방식에 대한 무대(stage)를 만들고 관계에서 우리가 하는 일들을 지시하는 강력하고 이해 가능한 감정에 의해 주도된다. 때때로, 숙련된 상담사와 함께 고통스럽거나 사로잡힌 초기 관계를 다루는 심리적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친밀함(intimacy)과 친밀감(closeness)는 항상 두려울 수밖에 없다. 누군가와 친해지는 것은 누구에게나 두려운 일이지만, 그렇다고 이것이 고통스럽거나 감당하기 어려운 불안을 야기하는 정도로 여겨질 필요는 없다. 친밀함과 친밀감은 정말로 기분 좋게 느껴질 수 있으며, 그러는 동안에도 여전히 당신에게 필요한 경계(boundaries)를 지킬 수 있다.
요약
관계는 우리의 삶에서 가장 보상적이면서도 도전적인 영역이다. 당신의 애착유형에 대해 아는 것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큰 이익이 될 수 있고, 이는 더 많은 관계적 성공에 기여할 수 있다. 회피형 애착유형에 대한 상기 팁은 당신을 더 가까운 연결로 이끌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당신이 더 안정적인 애착유형으로 전환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애착유형은 정적(static)이지 않다는 점을 유념하라. 애착유형은 우리와 함께 있는 사람들과 우리가 실천하는 행동에 따라 변화한다. 함께 있는 사람에게 자기 자신을 더 많이 표현하려고 연습할수록, 그러한 경험이 더 잘 경험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렇게 하면, 당신은 관계 바깥이 아닌 관계 안에서 당신을 위한 빈자리를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목표는 안정형 애착유형의 행동을 보다 많이 하는 것이다. 안전한 방식으로 서로 소통하는 방법을 배우면 관계에서 더 많은 안정성을 얻을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둘 다 더 안정적인 애착유형을 개발할 수 있다. 안정적으로 애착을 형성하는 사람들은 도움받을 수 있고(available), 상대를 배려하며(attentive), 상대의 요구에 반응적이라는(responsive) 세 가지 주요한 자질을 갖고 있다. 회피형이 (관계로부터 부분적으로 벗어나 있거나 주기적으로 묵살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더 도움을 주고, 배려심 깊으며, 반응적으로 행동할 때 양쪽 모두에게 더 만족스러운 관계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자질을 체득할 수 있도록 연습하고 상대로부터 경험하는 것이 안정성과 친밀감을 성장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